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로마 제국 시작과 멸망, 초대황제와 마지막 임페리얼 황제

기독교/로마서

by s학장 2024. 4. 26. 09:56

본문

로마 제국의 서부 영토에서의 멸망은 일반적으로 476년으로. 이때 게르만 왕국의 지도자 오도아케르가 마지막 황제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폐위시키면서 서로마 제국이 사실상 종말을 고하게 된다.


서부 로마 황제 목록 (초기부터 476년까지)

 순번   황제 이름   재위 기간   주요 업적   전임자   후임자   비고
1   아우구스투스   27 BC - 14 AD   제정 초기의 안정. 제국의 확장   없음   티베리우스   로마 제국의 첫 황제
2   티베리우스   14 - 37 AD   제국의 경제적 안정과 군사적 확장   아우구스투스   칼리굴라   -
3   칼리굴라   37 - 41 AD   광기의 통치. 대중과의 갈등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
4   클라우디우스   41 - 54 AD   브리타니아 정복. 법률 개혁   칼리굴라   네로   -
5   네로   54 - 68 AD   로마 대화재. 예술과 문화의 진흥   클라우디우스   갈바   -
6   갈바   68 - 69 AD   짧은 통치. 시민적 불안   네로   오토   네 황제의 해
7   오토   69 AD   제국을 위한 짧은 통치. 비타의 전쟁   갈바   비텔리우스   네 황제의 해
8   비텔리우스   69 AD   군사적 불안정. 폭력적 통치   오토   베스파시아누스   네 황제의 해
9   베스파시아누스   69 - 79 AD   평화의 재건. 콜로세움 건축   비텔리우스   티투스   -
10   티투스   79 - 81 AD   베수비오 화산 폭발 관리. 콜로세움 완성   베스파시아누스   도미티안   -

| 순번 | 황제 이름 | 재위 기간 | 전임자 | 후임자 | 비고 |

| 1 | 아우구스투스 | 27 BC - 14 AD | 없음 | 티베리우스 | 로마 제국의 첫 황제 |
| 2 | 티베리우스 | 14 AD - 37 AD | 아우구스투스 | 칼리굴라 | |
| 3 | 칼리굴라 | 37 AD - 41 AD | 티베리우스 | 클라우디우스 | |
| 4 | 클라우디우스 | 41 AD - 54 AD | 칼리굴라 | 네로 | |
| 5 | 네로 | 54 AD - 68 AD | 클라우디우스 | 갈바 | |
| 6 | 갈바 | 68 AD - 69 AD | 네로 | 오토 | |
| 7 | 오토 | 69 AD | 갈바 | 비텔리우스 | |
| 8 | 비텔리우스 | 69 AD | 오토 | 베스파시아누스 | |
| 9 | 베스파시아누스 | 69 AD - 79 AD | 비텔리우스 | 티투스 | |
| 10 | 티투스 | 79 AD - 81 AD | 베스파시아누스 | 도미티안 | |
| 11 | 도미티안 | 81 AD - 96 AD | 티투스 | 네르바 | |
| 12 | 네르바 | 96 AD - 98 AD | 도미티안 | 트라야누스 | |
| 13 | 트라야누스 | 98 AD - 117 AD | 네르바 | 하드리아누스 | |
| 14 | 하드리아누스 | 117 AD - 138 AD | 트라야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
| 15 | 안토니누스 피우스 | 138 AD - 161 AD | 하드리아누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
| 16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161 AD - 180 AD | 안토니누스 피우스 | 코모두스 | |
| 17 | 코모두스 | 180 AD - 192 AD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페르티낙스 | |
| 18 | 페르티낙스 | 192 AD | 코모두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
| 19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193 AD | 페르티낙스 | 세프티무스 세베루스 | |
| 20 | 세프티무스 세베루스 | 193 AD - 211 AD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카라칼라 | |

이 리스트는 서로마 제국의 멸망(476년)까지 계속 어어진다.

 

동로마 황제 목록 (395년 분할 이후)
순번 황제 이름 재위 기간 주요 업적 전임자 후임자 비고
1 아르카디우스 395 - 408 AD 동로마의 초기 확립 테오도시우스 대제 테오도시우스 2세 동로마 제국의 초기 황제
2 테오도시우스 2세 408 - 450 AD 법전화 학문의 진흥 아르카디우스 마르키아누스 -
3 마르키아누스 450 - 457 AD 군사적 방어 강화 테오도시우스 2세 레오 1세 -
4 레오 1세 457 - 474 AD 대'로 불림 군사 개혁 마르키아누스 레오 2세 -
5 레오 2세 474 AD 짧은 재위 레오 1세 제논 -
6 제논 474 - 491 AD 신분 제도 개혁 레오 2세 아나스타시우스 1세 -
더보기
로마황제 리스트 ChatGPT제공.

 



동로마 제국 (비잔틴 제국):
- 순번: 1
- 황제 이름: 아르카디우스
- 재위 기간: 395 - 408 AD
- 주요 업적: 동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로서 제국의 독립적 기초를 다짐
- 전임자: 테오도시우스 대제
- 후임자: 테오도시우스 II
- 비고: 동서로마 분할 후 처음으로 동로마를 다스린 황제

- 순번: 마지막
- 황제 이름: 콘스탄티노스 XI 팔라이올로고스
- 재위 기간: 1449 - 1453 AD
- 주요 업적: 콘스탄티노플의 마지막 방어전을 지휘
- 전임자: 요한니스 VIII 팔라이올로고스
- 후임자: 없음 (제국 멸망)
- 비고: 비잔틴 제국의 마지막 황제로서 오스만 제국에 의해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되며 제국이 멸망

서로마 제국:
- 순번: 1
- 황제 이름: 호노리우스
- 재위 기간: 393 - 423 AD
- 주요 업적: 서로마 제국의 분리 이후 서부 지역의 황제
- 전임자: 테오도시우스 대제
- 후임자: 발렌티니아누스 III
- 비고: 서고트족의 침략에 맞서 약화된 제국을 지키려 애썼으나 실패

- 순번: 마지막
- 황제 이름: 로물루스 아우구스투스
- 재위 기간: 475 - 476 AD
- 주요 업적: 로마 제국의 멸망을 맞이한 황제
- 전임자: 율리우스 네포스
- 후임자: 없음 (제국 멸망)
- 비고: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서로마 제국은 무너졌고, 그는 '마지막 황제'로 기록됨

동로마 제국의 황제



1. **아르카디우스** (395-408 AD)
- 동로마의 초기 확립
- 테오도시우스 대제, 테오도시우스 2세
- 동로마 제국의 초기 황제

2. **테오도시우스 2세** (408-450 AD)
- 테오도시우스 대제의 둘째 아들
- 로마의 행정 체계를 강화
- 반달족의 침입을 막아냄
- 훈족의 왕 아틸라와 협상하여 로마의 영토를 보존
- 마르키아누스, 마르셀루스

3. **마르키아누스** (450-457 AD)
- 테오도시우스 2세의 조카
- 훈족의 왕 아틸라의 공격을 막아냄
- 아스파르, 레오

4. **레오** (457-474 AD)
- 훈족의 왕 아틸라의 공격을 막아냄
- 서로마 제국의 지원을 받아 동로마 제국의 영토를 확장
- 아나스타시우스 1세

5. **아나스타시우스 1세** (474-491 AD)
- 동로마 제국의 재정을 안정시킴
- 서로마 제국의 멸망을 지켜봄
- 제논

6. **제논** (491-518 AD)
- 동로마 제국의 영토를 확장
-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로마의 정통성을 이어받음
-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7.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518-527 AD)
- 로마의 법전을 편찬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성당을 건설
- 벨리사리우스, 나르세스

8. **벨리사리우스** (527-536 AD)
- 유스티니아누스 대제의 총사령관
- 북아프리카와 이탈리아를 정복
- 페르시아의 공격을 막아냄
-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벨리사리우스

9. **나르세스** (536-537 AD)
- 벨리사리우스의 후임
- 이탈리아를 정복
- 고트족의 반란을 진압
-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벨리사리우스

10.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527-565 AD)
- 로마의 법전을 편찬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성당을 건설
- 벨리사리우스, 나르세스

위의 내용은 동로마 제국의 역사와 함께 황제들의 이름과 재위 기간, 주요 업적, 전임자와 후임자, 비고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기독교 > 로마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른스트 케제만  (0) 2024.03.18
로마서의 개요 및 기록목적 (이신칭의 vs 이신득의)  (1) 2024.03.08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