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론연구]13주차 현대신학의 신이해
1. 칼 바르트의 신이해
1. 20세기 최대, 최고의 신학자.
2.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비판과 대안 제시
1) 자유주의 신학: 19세기 독일 신학. 개신교 자유주의.
인간 중심주의, 이성에 대한 신뢰, 역사의 진보에 대한 믿음 등으로 특징되는 근대 서구 정신에 맞추어서 기독교 신앙의 내용을 조정 내지 재구성하려고 한 신학.
(1) 지적 정직성, 변화된 시대정신과의 대화를 통해 기독교 신앙의 자리를 확보하고자 함.
(2) 성경에 대한 역사 비평적 접근. -성경은 하나님 말씀이기 이전에 이스라엘의 종교 문서
(3) 전통적인 기독교 교리에 대한 의심과 해체: 하나님의 초월성 대신 내재성.
하나님의 아들 아닌 가장 이상적인 인간으로서의 예수
죄인으로서의 인간 보다 하나님 형상으로서의 인간
성령의 내재성 강조- 인간 이성과 종교성 속에 깃든 불멸의 힘으로서의 성령
역사 초월적 구원 아닌 역사 내적 구원과 해방. - ‘이 땅을 하나님 나라로!’
2) 자유주의 신학을 공부한 바르트. 그러나 자펜빌에서의 목회, 특히 1 차 대전의 경험으로 자유주의 신학의 한계를 절감하고 새로운 신학을 시도- 종교 개혁자와 17세기 개신교 정통주의 신학에서 그 답을 찾음.
3. 바르트의 신론
1) 하나님은 하나님을 통해서만 전달된다: 예수 안에서 온전히 발견되는 하나님
2) 존재유비에 근거한 모든 종류의 자연 신학 거부
cf)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의 ‘절대의존 감정’
4) 존재 유비 아닌 신앙 유비, 다시 관계 유비.
- 하나님의 인간성
4. 바르트의 삼위일체론
1) 예수 안에서 발견되는 하나님
2) 하나님의 주되심 (Gott ist Herr)을 말하기 위한 교리로서의 삼위일체론
3)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의 존재 방식(seinsweise)
- 인격(person) 이란 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
2. 폴 틸리히의 신이해
1. 바르트와 쌍벽을 이루는 20세기의 대 신학자 (그의 생애 참조)
2. 신학자로서의 폴 틸리히
1) 지적 자유를 추구한 신학자
2) 경계선 상의 신학자
3) 변증신학자
4) 문화신학자
5) 실존주의적 신학자
3. 신학 방법론으로서의 상관관계법(method of correlation)
"인간 상황은 질문하고 하나님의 계시는 답변한다.“
이성- 계시
존재- 하나님
실존-그리스도
생명-성령
역사- 하나님의 나라
4. 틸리히의 신이해
1) 존재 자체 (Being Itself)로서의 하나님
2) 존재의 심연(깊이)- the depth of Being-으로서의 하나님
3) 궁극적 관심의 대상으로서의 하나님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