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은 왜 발하는 것인가? 다음 3가지를 충족하지 못할 때 우울증(병증심각) 상태로 변하게된다.
1 자유감:
2 유능감,
3 관계감
모든 것충족 –게임(스마트폰 등): 유소년, 청소년, 청년, 성인등 예외없이 이러한 대상이 한곳에 집중하게되고 유일한 돌파구로 생각하고 올인하게되거나 더깊은 자극을 요구하게된다.
추천도서: 오늘도 우울하지 않았습니다
0
우울증 이해와 예방을 위한 심리적 면역 기르기
김재환 교수
(부산장신대학교상담및심리치료대학원)
여러분은 우울하다고 느끼실 때가 있나요?
언제 우울하다고 느끼시나요?
우울감과 우울증은 어떻게 다른가?
크리스찬이라도 우울증에 걸릴 수 있다! 왜?
•우리가 사는 인생 자체가 고난(stress)의 연속일 수 있다.
•신체적, 심리적, 영적으로 인간 자체가 연약하다.
•예수님을 믿더라도 우리는 성화의 과정 속에 있다.
•우울증은 인생의 고통에 대한 반응의 증상일 수 있다.
•우울증을 유발 할 수 있는 요인은 매우 많다. (발달적 욕구 결핍, 신체, 심리, 대인관계, 환경, 영적인 문제)
•특히 현대 도시 사회는 우울증 유발하기에 최적화되어 있다.
•현대의 사회의 아동 청소년들은 특히 우울증을 걸리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스트레스, 불확실성, 고립, 도시환경, 음식, 수면, 미디어 등)
누구일까요?
왜 엘리야는 이러한 상태가 되었는가?
1. 엘리야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 되어 있다.
그러자이세벨은엘리야에게 심부름꾼을 보내어 말하였다. "네가 예언자들을 죽였으니, 나도 너를 죽이겠다. 내가내일이맘때까지 너를 죽이지 못하면, 신들에게서 천벌을 달게 받겠다. 아니, 그보다 더한 재앙이라도그대로받겠다.“ 엘리야는 두려워서 급히 일어나, 목숨을 살리려고 도망하여, 유다의브엘세바로 갔다. 그 곳에 자기 시종을 남겨 두고
2. 엘리야는 큰 성과 및 이상과 현실사이의 큰 괴리를 경험하고 있다.
아세라와 바알신을 섬기던 제사장 840명과의 영적 싸움에서 이겼으면 구약에서 가장 많은 기적을 나타냈던 선지자 였지만 현실은 비참하다.
3. 최선을 다했지만 더 이상의 희망이 없다. 자신, 세상, 미래에 대해 모두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나는 이제까지 주 만군의하나님만 열정적으로 섬겼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 자손은 주님과 맺은언약을 버리고, 주님의제단을 헐었으며, 주님의 예언자들을 칼로 쳐서 죽였습니다. 이제 나만 홀로 남아 있는데, 그들은 내 목숨마저도 없애려고 찾고 있습니다."
왜 엘리야는 이러한 상태가 되었는가?
4. 신체적으로 매우 지쳐있다. 수면 및 영양 상태가 매우 좋지 않은 상태이다.
이미 이방신을 섬기는 선지자들, 아합, 이세벨과의 싸움을 지속해 왔다.
그는로뎀 나무아래에 누워서 잠이 들었는데; 일어나서, 먹고 마셨다. 그 음식을 먹고, 힘을 얻어서
5. 영적, 심리적 공동체의 부재, 고립되어 있다. 더 이상 의지할 대상을 찾지 못했다.
나만 홀로 남아 있는데; 그 바람이 지나가고 난 뒤에 지진이 일었지만, 그 지진 속에도 주님께서 계시지 않았다. 지진이 지나가고 난 뒤에 불이 났지만, 그 불 속에도 주님께서 계시지 않았다.
엘리야는 어떻게 회복되었는가?
1. 신체적, 심리적, 영적 ‘어루만짐’이 있었다.
5절의 ‘어루만지며’는 히브리어 ‘나가’로, ‘효과를 느끼도록 두드리다’ ‘톡톡 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음. 어머니가 배 아픈 자녀의 배를 어루만지며 “엄마 손은 약손”이라고 하셨던 바로 그 어루만짐임.
2. 망가진 수면 패턴을 바로잡기 위해 잘 때 자고 일어날 때 일어나도록 깨우셨다.
3. 떨어진 식욕의 문제를 고쳐 주기 위해 광야에서 구할 수 없는 별미인 ‘숯불에 구운 떡’과 ‘시원한 생수 한 병’을 주셨다. 그저 토닥이시면서 먹이고 깨워 주셨음.
4. 자신, 세상, 미래에 대한 다른 관점과 ‘함께 함을 제공‘ 하셨다.
너만 홀로 남았다고 하지만 아니다. 그리고 너만 홀로 열심을 낸 것이 아니다. 광야를 거쳐 다메섹에 가면 하사엘이라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님시의 아들 예후가 이스라엘의 왕이 되게 하고, 무엇보다 사밧의 아들 엘리사가 있으니 그와 함께 동역하라”고 말씀하심. 무엇보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가운데 7000명이 남아 있다. 너만 바알에게 무릎을 꿇지 아니한 것이 아니다”고 확인시키심.
강의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우리 아이 우울증 예방을 위한 십계명
•영유아 시기에 충분한 애정 및 감정적 조율과 반응은 필수다!
•기본적인 심리적 욕구를 채워야 한다. –에덴동산!!
•과도한 스트레스의 노출을 피해야 한다. (과도한 학습, 경쟁, 가족내 만성적인 갈등, 경제 및 사회적 결핍, 위험상황 등)
•사랑을 기반으로 한 따뜻하지만 단단한 훈육이 존재해야 한다. (자기 경계 설정)
•건강하고 깨끗한 음식을 먹어야 한다.
•깨끗한 자연 환경과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필요하다
•땀을 흘리는 노동 또는 운동 그리고 건강한 수면이 필요하다.-미디어
•안정적이고 긍정적이지만 한계를 인정할 수 있는 균형있는자기인식이필요하다.
•안전하고 따뜻한 영적 공동체가 필요하다.
•믿음이 필요하다! 자신의 존재, 타인, 미래, 세상, 그리고 하나님에 대한 건강한 믿음은 들음과 경험에서 난다. 부모, 친구, 목회자, 공동체, 하나님!
청소년 우울증 현황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 양상
•하루 중 상당한 기간 동안,한주내내슬픔을드러냄
•극단적인 우울, 성마름, 삶의 대부분의 흥미를 잃음, 만연한 권태감
•수면의 어려움 도는 과도한 수면
•식욕이 적거나 지나치게 많아짐
•미래에 대한 무망감, 낮은 자존감, 에너지 결여, 죄책감
•정신활동 지체, 갑작스런 학업에 대한 집중의 어려움과 학업성적 하락
•자해 및 자살 사고
•2주간 계속
우울증 진단(DSM-5)
우울증 진단(DSM-5)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
•매우 과민하고 행동적인 통제불능이 지속적이고 빈번하게 나타나는 12세 이상 아동들에게 해당되는 장애임. 언어적이나 행동적으로 심각한 분노발작(temper outburst)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분노발작이 화를 내는 이유에 비해 매우 크고 심각함. 이러한 분노 발작은 나이에 맞지 않게 심하며, 평균적으로 1주에 3회 이상 나타날 수 있음. 또한 분노 발작이 없는 때에도 부모나 교사, 친구들이 보기에 매일, 하루 종일 과민하거나 화난 상태로 보임. 이러한 증상들이 1년 이상 지속되고, 어느 한 곳이 아니라 학교, 학원, 집 등 2개 이상의 상황에서 나타나면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라고 할 수 있음.
•기분저하증(지속성 우울장애)
•우울증보다는 약하지만 일반 사람들에 비해 기분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가 적어도 2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진단됨. 하루의 대부분 우울 기분이 있고, 우울 기분이 없는 날보다 있는 날이 더 많음. 아동·청소년에게서는 기분이 과민한 상태로 나타나기도 함. 증상이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함.
•월경 전 불쾌감장애
•대부분의 월경 주기에서 월경 시작 1주 전에 증상이 시작되어 월경이 시작되고 수일 안에 증상이 호전되며 월경이 끝난 주에 증상이 거의 사라지는 경우에 해당. 현저하게 불안정한 기분, 과민성, 분노, 대인관계 갈등, 자기비난, 과도한 긴장감, 신경이 곤두서는 증상이 존재
위험요인
•여성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자녀 관계에서 낮은 온정과 낮은 가족 응집력, 분노 및 처벌적인 특징을 지는 부모 성향
•가족 중에 우울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나 다른 정신 질환을 가진 경우
•역기능적인육아를하는부모
•사회관계 및 의사소통 능력이 낮거나 지각된 친밀감이나 사회적 지지가 부족
•또래 갈등
•트라우마나 애도 반응
•유전 및 기질
우울증의 원인
Stress
•존재를 위협하거나, 존재를 경험하지 못하게 하거나 일체의 모든 것
•존재를 변형 시킴(인지-감정-신체)
•신체적-심리적 욕구가 채워지지 않는 것(자율, 유능, 관계, 유희)
•존재가 무시 받거나 위협받는 것
•의미 없는 것
•반복적인 일
•무 자극적인 것-감옥, 무인도
•심리적 고통 뿐만 아니라 뇌와 신체에 염증 유발
마음의 면역력
우울의 문제
인지적(사고와 해석)관점
인생은 고해(苦海)다.
인간은 왜 고통(우울)받는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는 〈화엄경〉의 핵심사상을 이루는 말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
•Epitectus(스토아학파): 우리를 당황하게 하는 것은 우리에게 일어난 사건일 결코 아니다. 그것은 이러한 사건을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이다.
•이미 지나간 일 불러내어 되새김질, 아직 오지 않은 미래 걱정
•관점: 광야에서의 이스라엘 백성, 가나안 땅을 목전에 둔 이스라엘 백성
•기질
•수용(바꿀 수 없는 것): 현실, 장애, 죽음, 사별, 사건 사고, 재해, 전쟁 등
•By faith we understand(히브리서 11장)
믿음으로(By faith)stress 대처 (히브리서 11장)
어떻게 인식(해석)할 것인가?(인지)
•인지 삼재(三災): 자신, 세상 , 미래에 대한 부정적 신념(믿음)
도식(Schema:핵심믿음)형성
부적응적 도식(스키마)
초기 부적응 도식의 특징
핵심적 욕구 좌절과 초기 부적응적 심리도식 형성
•타인과의 안정 애착(안전감, 안정감, 돌봄, 수용을 포함)
•자율성, 유능감, 정체감
•타당한 욕구와 감정을 표현하는 자유
•자발성과 유희
•현실적 한계 및 자기-통제
정서(emotion): 정서조절
우울증 관련 뇌의 구조(정서조절과 기억의 문제)
•안와전전두피질
•복내측전전두피질
•배외측전전두피질
•변연계(해마-편도체-대상회)
¾ÖÂø°®·¹½º ´ëó(Á¤¼Á¶Àý)
우울증은 단순히 생각과 의지라는 심리적 문제만이 아니다!
신체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뇌와 내장의 연결 문제
•장내 미생물-스트레스 반응, 인지기능 향상, 정서조절, 대인관계 능력
•면역체계
•음식
•수면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우울증은 단순히 의지와 생각의 문제만은 아니다!
먹던지 마시던지 주의 영광을 위해
•창세기 에덴 동산!
•레위기 11장
•사도신경:몸의 부활을 믿습니다!
음식의 문제 (아스파탐)
•인공감미료(Aspartame)
•아스파탐은6000가지 이상의 가공식품류에 첨가되어 있으며, 아동에서부터 성인까지 매일 섭취하고 있음.
•우울증 환자에게서는 식물성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단에서 발생하는 비피더스균(Bifidobacteria)과 젖산간균(Lactobacillus) 등이 감소되어 있음.
•유산균 치료를 통해 우울증 환자의 스트레스 반응과 우울증 증상 수치를 낮춰진 사례가 존재함. (Kazemi et al. 2019; Nishida et al. 2017; Papalini et al. 2019)
•비피더스균(Bifidobacteria)과 젖산간균(Lactobacillus)증가를 통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의 수준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에 대한 회복탄력성이 증가시킴. 이를 통해 우울감을 감소시킴 (Messaoudi et al. 2011; Schmidt et al. 2015).
우리 아이 우울증 예방을 위한 십계명
•영유아 시기에 충분한 애정 및 감정적 조율과 반응은 필수다!
•기본적인 심리적 욕구를 채워야 한다.
•과도한 스트레스의 노출을 피해야 한다. (과도한 학습, 경쟁, 가족내 만성적인 갈등, 경제 및 사회적 결핍, 위험상황 등)
•사랑을 기반으로 한 따뜻하지만 단단한 훈육이 존재해야 한다. (자기 경계 설정)
•건강하고 깨끗한 음식을 먹어야 한다.
•깨끗한 자연 환경과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필요하다
•땀을 흘리는 노동 또는 운동 그리고 건강한 수면이 필요하다.-미디어
•안정적이고 긍정적이지만 한계를 인정할 수 있는 균형있는자기인식이필요하다.
•안전하고 따뜻한 영적 공동체가 필요하다.
•믿음이 필요하다! 자신의 존재, 타인, 세상, 그리고 하나님에 대한 건강한 믿음은 들음과 경험에서 난다. 부모, 친구, 목회자, 공동체, 하나님!
감사합니다!
•Q & A
참고문헌
•Choudhary AK, Lee YY. Neurophysiological symptoms and aspartame: What is the connection? Nutr Neurosci. 2018 Jun;21(5):306-316. doi: 10.1080/1028415X.2017.1288340. Epub 2017 Feb 15. PMID: 28198207.
•Lindseth GN, Coolahan SE, Petros TV, Lindseth PD. Neurobehavioral effects of aspartame consumption. Res Nurs Health. 2014 Jun;37(3):185-93. doi: 10.1002/nur.21595. Epub 2014 Apr 3. PMID: 24700203; PMCID: PMC5617129.
•Ruiz-Ojeda FJ, Plaza-Díaz J, Sáez-Lara MJ, Gil A. Effects of Sweeteners on the Gut Microbiota: A Review of Experimental Studies and Clinical Trials. Adv Nutr. 2019 Jan 1;10(suppl_1):S31-S48. doi: 10.1093/advances/nmy037. Erratum in: Adv Nutr. 2020 Mar 1;11(2):468. PMID: 30721958; PMCID: PMC6363527.
•Davidson, R. J., Pizzagalli, D., Nitschke, J. B., & Putnam, K. (2002). Depression: Perspectives from Affective Neuroscienc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1), 545–574. doi:10.1146/annurev.psych.53.100901.135148
•Pereira, J. da C., Rea, K., Nolan, Y. M., O’Leary, O. F., Dinan, T. G., & Cryan, J. F. (2017). Depression’s Unholy Trinity: Dysregulated Stress, Immunity, and the Microbiom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71(1). doi:10.1146/annurev-psych-122216-011613
•Nutt DJ. Relationship of neurotransmitters to the symptom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J Clin Psychiatry. 2008;69 Suppl E1:4-7. PMID: 18494537.
•Ruiz-Ojeda FJ, Plaza-Díaz J, Sáez-Lara MJ, Gil A. Effects of Sweeteners on the Gut Microbiota: A Review of Experimental Studies and Clinical Trials. Adv Nutr. 2019 Jan 1;10(suppl_1):S31-S48. doi: 10.1093/advances/nmy037. Erratum in: Adv Nutr. 2020 Mar 1;11(2):468. PMID: 30721958; PMCID: PMC6363527.
•Choudhary AK, Lee YY. Neurophysiological symptoms and aspartame: What is the connection? Nutr Neurosci. 2018 Jun;21(5):306-316. doi: 10.1080/1028415X.2017.1288340. Epub 2017 Feb 15. PMID: 28198207.
댓글 영역